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행정정보시스템의 복구율이 92%를 넘어섰다. 정부는 대구센터로 이전 중인 일부 시스템을 제외한 대부분의 전산망을 오는 20일까지 완전히 정상화한다는 방침이다. 2일 행정안전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중 656개가 복구돼 복구율은 92.5%에 달했다. 이는 전날보다 3개가 늘어난 수치로, 정부는 이번 주 안으로 복구율을 95%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날 추가로 복구된 시스템은 ▲행정안전부 지진가속계측자료 통합관리시스템 ▲재난안전데이터 공유플랫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침해예방시스템 등이다. 등급별 복구 현황을 보면, 중요도가 가장 높은 1등급 시스템 40개는 모두 정상화됐고, 2등급은 68개 중 64개(94.1%), 3등급은 261개 중 242개(92.7%), 4등급은 340개 중 310개(91.2%)가 가동 중이다. 정부는 이번 주 내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개인정보 조사정보통합시스템, 국가보훈부의 보훈통계시스템 등 31개 시스템을 추가 복구해 복구율을 95.2%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일부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고객 감사 패키지 시행 등으로 3분기 영업 실적이 하락한 SK텔레콤(SKT)이 AI 사업 등 신성장 동력을 중심으로 도약을 모색하고 있다. SKT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9781억원, 영업이익 48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2%, 90.9% 감소했다고 지난 30일 밝혔다. 별도 기준 매출은 2조6647억원, 영업손실 522억원, 당기순손실 2066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실적 하락은 유심 해킹 사태로 인한 ‘고객 감사 패키지’ 시행 등 단기 비용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유무선 통신 사업은 회복세를 보였다. 5G 가입자는 1726만 명으로 전분기 대비 약 24만 명 증가했으며,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도 순증으로 전환됐다. 한편, AI 관련 사업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AI 데이터센터(DC) 사업은 판교 데이터센터 인수와 GPU 임차 지원사업 수주로 1498억원, AIX 사업은 557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AI 사업 전체는 전년 동기 대비 35.7% 성장했다. AI 중심 사업 구조 전환...DC 구축 MOU 체결 등 분산된 AI 역량을 ‘AI CIC’로 재편해 AI 중심 사업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미래에셋그룹이 총 114명의 임원 승진 인사를 단행하며 ‘미래에셋 3.0’ 시대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렸다. 그룹은 인공지능(AI), 디지털, 글로벌 등 핵심 비즈니스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세대교체형 리더십 재편에 나섰다. 미래에셋그룹은 31일 국내 112명, 해외 2명을 포함한 총 114명의 임원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AI·디지털 혁신과 글로벌 확장을 통한 새로운 도약의 출발점”이라고 그룹은 설명했다. 이번 인사에서는 특히 여성 리더와 1980년대생 젊은 임원들이 대거 발탁된 점이 눈길을 끈다. 미래에셋증권의 최선민 전무와 손성임 상무, 미래에셋생명의 정현영 상무 등 다수의 여성 리더가 주요 보직에 이름을 올렸으며,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박구빈 상무와 이원보 이사 등 젊은 세대의 임원들이 새롭게 전진 배치됐다. 이는 조직의 다양성과 역동성 강화, 세대 간 소통을 통한 리더십 전환을 상징하는 조치로 풀이된다. 그룹은 “급변하는 글로벌 금융환경 속에서 디지털 역량과 글로벌 투자 감각을 갖춘 젊은 리더들이 혁신을 주도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인사”라며 “유연한 조직문화와 수평적 의사
								이혜진 기자 | SPC가 운영하는 파인 캐주얼 버거 브랜드 **‘쉐이크쉑(Shake Shack)’**이 겨울 시즌을 맞아 치즈의 풍미를 가득 담은 신제품 **‘스노우 치즈 쉑(Snow Cheese Shack)’**을 비롯한 한정 메뉴를 선보였다. 이번 겨울 시즌 콘셉트는 **‘스노위 치즈(Snowy Cheese)’**로, 포근한 겨울 눈처럼 부드럽게 녹아드는 치즈의 질감과 풍미를 표현했다. 쉐이크쉑은 치즈 애호가와 버거 마니아를 위해 풍성한 맛과 식감을 구현한 메뉴를 중심으로 올겨울 한정 미식 경험을 제안한다. 대표 메뉴인 **‘스노우 치즈 쉑’**은 블랙앵거스 비프 패티 위에 진한 아메리칸 치즈와 쫄깃한 모짜렐라 치즈를 함께 올린 프리미엄 치즈 버거다. 여기에 그릴드 어니언과 갈릭 마요 소스를 더해 풍부한 육즙과 고소한 치즈의 조화를 완성했다. 함께 선보이는 **‘갈릭 치즈 프라이’**는 바삭한 크링클컷 프라이에 파마산 치즈를 뿌리고 갈릭 마요 소스를 곁들인 메뉴로, 겨울철 어울리는 따뜻하고 진한 풍미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인기 메뉴인 **‘베이컨 체다 도그’**는 비프 소시지 위에 치즈 소스와 훈연 베이컨을 더해 짭조름하면서도 고소한 맛을 자랑한다. 음
								투데이e코노믹 = 이혜진 기자 | 동아제약이 국산 황해쑥(Artemisia argyi)의 기능성 원료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며 건강기능식품 산업화의 새 전기를 마련했다. 동아제약(대표 백상환)은 30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5 한국식품영양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황해쑥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개발(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Artemisia argyi)’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동아제약이 최근 집중해온 황해쑥 기능성 소재 연구의 주요 성과를 학계와 산업계에 공유하고, 산학연 협력 강화 및 국내 건강기능식품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좌장은 중앙대학교 이홍진 교수와 연세대학교 변상균 교수가 맡았다. 이날 발표에서는 ▲국산 황해쑥 품종 개발 ▲대사체 분석을 통한 성분 규명 ▲위 건강 관련 비임상 효능 검증 ▲인지기능 개선 가능성 등 황해쑥의 다각적 효능이 소개됐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정훈 약용작물육종실장은 ‘국내 약용작물 품종 개발 현황 및 황해쑥(평안애) 품종특성’을 발표하며 “국산 황해쑥의 경쟁력 확보를 통해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삼성전자가 대한민국 최대 쇼핑 축제 ‘2025 코리아세일페스타’에 맞춰 대규모 고객 혜택 행사를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간 ‘삼성전자와 함께 하는 코리아세일페스타’를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올해로 10년째 코리아세일페스타에 참여하는 삼성전자는 가전, 모바일, IT 제품 전 품목을 대상으로 다양한 할인과 포인트 혜택을 제공해 소비자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AI 구독클럽’ 관련 혜택이 새롭게 추가됐다. 11월 1일부터 10일까지 행사 제품을 ‘AI 올인원 2.0’ 요금제로 구독한 고객에게는 첫 달 구독료 상당의 삼성전자 멤버십 포인트가 지급된다. 또한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 사업’ 대상 제품을 구매한 고객은 구매 금액의 10%,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을 받을 수 있다. 환급 방식을 OK캐쉬백으로 선택할 경우, 삼성전자 멤버십 1만5천 포인트와 환급금의 5%에 해당하는 OK캐쉬백 최대 1만5천 포인트를 추가로 받아 총 3만 포인트의 추가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여러 품목을 함께 구매할수록 혜택이 커지는 ‘스마트 패키지’ 제도도 운영한다.
								투데이e코노믹 = 이혜진 기자 | 에스티팜이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전시회에 참가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분야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에스티팜(대표 성무제)은 10월 28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CPHI 월드와이드(CPHI Worldwide) 2025’**에 참가해 주력 사업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CDMO(위탁개발·생산) 역량을 집중 홍보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에스티팜은 사전 미팅 요청만 50건을 넘겼으며, 현장에서도 글로벌 제약사들과 다수의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했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글로벌 CDMO 기업으로서의 신뢰와 입지를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에스티팜은 올해 초 ‘제2올리고동’을 준공하고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신규 생산시설은 중소형부터 대형 생산라인까지 폭넓게 구성돼 있어, 임상 초기 단계부터 상업화 단계까지 고객사의 다양한 수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수주 대응 능력을 대폭 강화했다는 평가다. 회사 관계자는 “제2올리고동 가동으로 생산 효율성과 품질 관리 체계를 한층 고도화했다”며 “이번 CPHI 참가를 계기로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KB금융그룹이 올해 3분기 견조한 실적을 발표하며 균형 잡힌 이익 구조를 재확인했다. KB금융(회장 양종희)은 30일 인터넷·모바일 생중계를 통해 2025년 3분기 경영실적을 공개했다. 그룹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6,860억원으로, 금리 하락 국면에도 은행과 비은행 부문의 다변화된 이익 포트폴리오가 뒷받침됐다. 올해 누적 당기순이익은 5조1,217억원,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2.78%를 기록했다. 순수수료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하며 증권, 방카슈랑스, 신탁 등 비이자 부문에서 고른 성과를 보였다. 9월 말 기준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3.83%, BIS 자기자본비율은 16.28%로 자본적정성도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나상록 KB금융 재무총괄(CFO)은 “부동산에서 자본시장 중심으로 국내 경제 패러다임이 이동하는 전환기에 그룹 수익 구조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겠다”고 말했다. KB금융은 은행의 펀드 판매, 증권의 DCM·IPO 실적 등을 기반으로 자본시장 부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비은행 부문 이익 기여도가 4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사별로는 국민은행이 3분기 순이익 1조1,769억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