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3.9℃
  • 구름많음강릉 8.7℃
  • 흐림서울 4.7℃
  • 구름조금대전 6.4℃
  • 구름많음대구 8.3℃
  • 구름많음울산 9.6℃
  • 구름조금광주 7.7℃
  • 맑음부산 9.6℃
  • 맑음고창 7.3℃
  • 황사제주 11.7℃
  • 구름조금강화 4.3℃
  • 구름많음보은 5.4℃
  • 구름많음금산 6.0℃
  • 구름조금강진군 8.6℃
  • 구름많음경주시 8.8℃
  • 구름조금거제 9.0℃
기상청 제공

IT일반/과학

전체기사 보기

[박재형 칼럼] 농협의 ‘쇄신 쇼’로는 무너진 신뢰 못 되찾는다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2025년 국정감사에서 드러난 농협의 민낯은 한마디로 ‘총체적 위기’였다. 중앙회장의 금품수수 의혹, 상호금융의 부동산 PF 부실, 계열 금융사의 반복되는 금융사고와 내부통제 실패, 온라인 유통 자회사의 누적 적자까지. 어느 하나 가볍게 넘길 사안이 아니다. 농협의 간판 뒤에서 오랫동안 누적돼 온 구조적 병리가 한꺼번에 터져 나온 모습에 가깝다. 위기의 출발점은 리더십 붕괴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회장 선거를 앞두고 계열사와 거래하던 용역업체 대표로부터 수차례에 걸쳐 억대 금품을 받았다는 의혹으로 출국금지 조치를 당했다. 국감장에서는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는 말로 고개를 숙였지만, 정작 혐의의 실체에 대해서는 “수사 중”이라는 말 뒤에 숨었다. 전국 1,100여 개 조합을 이끄는 수장의 도덕성이 흔들리는 순간, 조직 전체의 통치력도 함께 무너진다. 선거 캠프 출신 인사들로 상무급과 이사회가 채워졌다는 ‘보은 인사’ 논란까지 더해지면서, 중앙회 리더십은 이미 도덕적 설득력을 상실했다. 문제는 도덕성에 그치지 않는다. 리더십의 공백은 곧바로 재무건전성과 사업 구조의 취약성으로 이어졌다. 상호금융 부문의 총 연체 규모가 반년



배너

기획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