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LG유플러스가 글로벌 클라우드 강자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전략적 협력을 한층 강화한다.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는 지난 29일 경주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현장에서 맷 가먼 AWS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AI·클라우드 분야 협력 가속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만남은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에서 체결된 전략적 파트너십의 후속 조치 성격을 띤다. LG유플러스는 당시 AWS와 국내 기업의 AI 전환(AX)과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협력관계를 공식화한 바 있다. 이번 회동을 통해 양사는 협력 범위를 확대하고, 특히 클라우드 인프라와 AI 서비스를 융합해 산업 전반에 새로운 혁신 모델을 제시한다는 목표를 공유했다. LG유플러스는 자체 개발한 소형 언어모델(sLLM) ‘익시젠(IXIgen)’을 AWS 베드록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하며 글로벌 무대 진출에 나선 상태다. 이번 APEC 회동은 해당 협력의 실행력을 높이고, AWS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AI 기반 서비스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회담 이후 LG유플러스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삼성전자가 3분기 실적에서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돌며 ‘반도체 회복’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고대역폭메모리(HBM)와 서버용 SSD 판매 호조, 폴더블 스마트폰 신모델 흥행이 동시에 맞물리며 영업이익과 매출 모두 크게 늘었다. 삼성전자는 30일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1천6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5%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10조4천832억원)를 16% 이상 웃돈 수치다. 매출은 86조617억원으로 8.8% 늘며 역대 분기 최대치를 새로 썼고, 순이익 역시 12조2천257억원으로 21% 증가했다. 실적을 이끈 주역은 단연 반도체다.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HBM3E, 서버 SSD 판매 확대로 분기 최대 메모리 매출을 기록하며 매출 33조1천억원, 영업이익 7조원을 달성했다. 특히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에 대응하는 HBM 제품군에서 성과가 두드러졌다. HBM3E는 주요 글로벌 고객사 전원에게 양산 판매가 진행 중이며, 차세대 HBM4 역시 샘플을 요청한 모든 고객사에 출하가 완료됐다. 업계에서는 엔비디아, AMD, 인텔 등 글로벌 AI 반도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SK텔레콤이 4년 만에 새로운 최고경영자를 맞이했다. 최근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태와 개인정보 유출 파장이 장기화되면서 신뢰 회복과 조직 쇄신이 절실해진 상황에서, 그룹은 정재헌 대외협력 사장을 신임 CEO로 선임했다. 30일 SK그룹은 수펙스추구협의회 회의에서 정 사장을 SK텔레콤의 새 대표이사로 확정했다. 정 신임 CEO는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출신으로, SK텔레콤 역사상 처음으로 법조인 출신이 CEO 자리에 올랐다. 그는 2020년 법원을 떠나 SK텔레콤 법무그룹장으로 합류한 뒤, SK스퀘어 설립 시 투자지원센터장을 맡았고, 수펙스추구협의회 거버넌스위원장, SKT 대외협력 사장 등 그룹 내 주요 보직을 거쳤다. 특히 AI 기술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AI 거버넌스’를 정립한 핵심 인물로 꼽힌다. 이번 인사는 개인정보 유출 사태와 실적 악화라는 복합 위기 속에서 이뤄졌다. SKT는 7월 위약금 면제와 요금 감면 등 대규모 보상 조치를 시행했지만, 가입자 이탈과 매출 감소로 3분기 영업이익이 90% 이상 급감했다. 업계에서는 정 신임 CEO가 법조인 출신답게 원칙과 규율을 앞세워 조직을 재정비하고 대내외 신뢰를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삼성전자가 지난 22일 출시한 신개념 헤드셋형 모바일 기기 ‘갤럭시 XR’이 MZ세대(20~30대)와 10대 고객층에서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출시 직후 전국 삼성스토어에서 운영 중인 체험존 예약이 빠르게 마감되면서 초기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삼성전자는 현재 전국 7개 매장(강남, 홍대, 더현대서울, 신세계 대전·대구·센텀시티, 광주 상무)에서 ‘갤럭시 XR’ 체험존을 운영 중이다. 삼성스토어 홍대점은 11월 5일까지, 삼성 강남점과 더현대 서울점은 11월 8일까지 예약이 이미 가득 찼다. 체험존 예약자 가운데 약 70%가 10~30대로 나타나면서 젊은 층의 높은 관심이 확인됐다. 예약 고객 외에도 제품을 직접 보려는 방문객이 늘어나면서 매장 내 유동 인구가 증가하는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갤럭시 XR은 유튜브, 넷플릭스, 티빙, 쿠팡플레이 등 젊은 세대가 즐겨 찾는 다양한 OTT 앱을 지원해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강화했다. 무게는 545g에 불과하며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해 가볍고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한다. 또 멀티모달 AI를 기반으로 음성·시선·제스처 인식이 가능해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점이 경쟁력으로 꼽힌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국내 이동통신 3사 모두가 올해 해킹 또는 보안 침해 정황으로 사이버 당국의 조사를 받게 됐다. LG유플러스가 최근 서버 해킹 정황을 뒤늦게 신고하면서, 통신업계의 보안 관리 실태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3일 오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자사 서버에서 해킹 정황이 발견됐다고 신고하고, 기술 지원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올해 SK텔레콤, KT에 이어 LG유플러스까지 해킹 관련 신고를 하며 통신 3사 모두가 사이버 침해 피해를 공식적으로 보고한 셈이다. 앞서 KISA는 지난 7월 화이트해커로부터 “LG유플러스의 내부자 계정을 관리하는 APPM 서버가 해킹됐다”는 제보를 받았다. 다음 달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Frack)’은 LG유플러스의 서버와 계정 정보가 유출됐다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2년 동안 APPM 서버 내 작업 이력과 8938개의 서버, 4만2526개의 계정, 167명의 사용자 ID 및 실명 정보가 외부로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LG유플러스는 “해당 정보가 협력사 시큐어키를 통해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며 직접 침입 정황은 없다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삼성전자가 자사 최초의 ‘트라이폴드폰’을 공개하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주도권 탈환에 나선다. 다음주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서 첫 실물이 선보일 예정으로, 전 세계 주요국 정상 앞에서 삼성의 폴더블 기술력을 과시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28~31일 APEC 정상회의 기간 중 대한상공회의소가 운영하는 경제 전시관 내에 ‘갤럭시 트라이폴드(가칭)’ 전시 공간을 마련할 예정이다. 삼성의 단독 행사 대신 국내 주요 기업들과 함께 국가 대표 기술력을 알리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번 전시는 단순한 신제품 홍보를 넘어, 삼성의 기술 리더십을 세계 정상들에게 직접 각인시키려는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삼성은 올해 안에 트라이폴드폰을 출시하겠다고 예고했으며, 업계는 이르면 11월 공식 공개 및 판매 개시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글로벌 주목도가 높은 APEC 무대에서 실물을 처음 공개함으로써, 별도의 언팩 행사보다 더 큰 파급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확인된 정보에 따르면, 갤럭시 트라이폴드는 화면 양쪽을 안으로 접는 ‘듀얼 인폴딩(G자형)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삼성전자가 노트북 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무료 점검과 교체 혜택을 제공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 삼성전자는 오는 23일부터 11월 22일까지 전국 117개 삼성스토어에서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을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지난 14일 지원이 종료된 ‘윈도우 10(Windows 10)’ 보안 업데이트에 따라, 사용자의 노트북 업그레이드와 안전한 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점검 대상 고객은 삼성스토어에서 판매상담사와 PC 전문 엔지니어를 통해 현재 사용 중인 노트북의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메모리·스토리지 이상 유무, 배터리 성능 등을 체계적으로 점검받는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된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이번 점검 캠페인과 함께 ‘바꿔보상’ 프로모션도 병행한다. 점검 고객이 삼성스토어에서 신규 갤럭시 북5 프로 360 또는 갤럭시 북5 프로를 구매할 경우 ▲네이버페이 5만 포인트 ▲스마트 키보드·이어폰 등 모바일 액세서리 30% 할인 쿠폰을 받을 수 있다. 또한, ‘AI 구독클럽’의 ‘AI 올인원 2.0’ 요금제로 구매하면 5만 원 상당의 로지텍 블루투스 마우스도 추가 증정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LG유플러스가 오는 10월 말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맞아 대규모 인파와 데이터 사용량 급증에 대비해 특별 통신망을 운영한다. LG유플러스는 22일,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주와 주요 행사장 일대에 이동 기지국과 임시 장비를 배치하고, 현장 상황실을 운영해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정상회의 본행사장뿐 아니라 참가국 대표단과 방문객이 찾을 것으로 예상되는 첨성대, 코모도호텔, 한화리조트 등 주요 지점에 5G·LTE 장비를 확충했다. 또 기자회견장이 마련된 미디어센터에는 통신 음영지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임시 장비를 설치했으며, APEC CEO 서밋 가족 만찬이 열리는 황룡원에는 와이파이 장비(AP)를 추가해 원활한 인터넷 접속을 지원한다. 경북 포항 지역에도 별도의 장비가 마련됐다. APEC 기념 불꽃쇼가 열리는 영일대 해수욕장과 정상회의 관계자 숙박용 크루즈가 정박한 영일만항 주변에는 이동 기지국을 배치해 데이터 트래픽 분산과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세계 정상들과 수많은 인파가 모이는 국제행사인 만큼 안정적인 통신 환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