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0.8℃
  • 맑음강릉 12.2℃
  • 맑음서울 12.4℃
  • 구름많음대전 11.0℃
  • 흐림대구 10.8℃
  • 흐림울산 12.7℃
  • 흐림광주 11.4℃
  • 흐림부산 14.4℃
  • 흐림고창 9.0℃
  • 흐림제주 15.6℃
  • 맑음강화 7.1℃
  • 흐림보은 8.4℃
  • 흐림금산 8.6℃
  • 흐림강진군 10.7℃
  • 흐림경주시 10.1℃
  • 흐림거제 11.8℃
기상청 제공

AI platform

SKT, AI 기반 무선 송수신 기술로 ‘전파방송 기술대상’ 장관상 수상

AI가 신호처리 혁신 주도…6G 핵심기술 경쟁력 입증

URL복사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SK텔레콤이 AI(인공지능) 기반 무선 송수신 기술로 제26회 전파방송 기술대상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6G(6세대 이동통신) 시대를 대비해 AI를 활용한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혁신 성과를 인정받은 결과로, SKT는 국내 통신사 중 AI 무선망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에 수상한 기술은 NTT도코모, NTT, 노키아 벨연구소 등과의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된 것으로, AI 기지국(AI-RAN, Radio Access Network) 구조 내에서 AI를 활용해 무선망 성능을 극대화하는 핵심 기술이다.

 

기존 이동통신은 예측하기 어려운 무선 환경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해 송신기와 수신기가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주고받으며 상태를 파악했으나, 이 과정에서 무선 자원이 낭비돼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SK텔레콤은 AI가 송·수신 신호의 핵심 처리 과정을 학습·대체하도록 설계해, 참조 신호 없이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했다.

 

이를 통해 기존 대비 훨씬 더 높은 무선 자원 활용 효율을 확보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채널 환경에서도 신호 품질과 전송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

 

특히, AI 모델이 주파수 대역폭·신호 세기·간섭 정도 등 다양한 변수를 실시간으로 인식해 자동으로 최적의 전송 패턴을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기술이 향후 6G 핵심 인프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AI-RAN 기술은 단순히 통신 효율을 높이는 수준을 넘어, 스스로 학습·진화하는 ‘자율형 네트워크(Intelligent Autonomous Network)’로 진화할 기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SKT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AI 네트워크 제어, 예측 기반 트래픽 관리, 초저지연 통신 서비스 등 차세대 네트워크 전반에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본부장은 “AI와 무선 기술을 결합한 이번 성과는 6G 경쟁에서 한국이 한발 앞서 나갈 수 있음을 보여준 의미 있는 결과”라며 “글로벌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AI 네트워크 혁신을 지속하고, 고객에게 한층 향상된 통신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주관하는 전파방송 기술대상은 전파·방송 분야 기술 혁신과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기업과 연구기관을 선정해 수여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상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수상을 통해 AI 기반 통신 기술 분야에서의 선도 입지를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