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동아에스티 및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이뮤노포지와 이뮤노포지의 1개월 약효지속형 반감기 연장 ELP(Elastin-Like Polypeptide)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비만치료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동아에스티, 뉴로보의 비만치료제 신약 후보물질과 이뮤노포지의 ELP 기술을 결합한 1개월 지속형 비만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뮤노포지의 1개월 약효지속형 반감기 연장 ELP 플랫폼 기술은 이뮤노포지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짐 밸런스(Jim Ballance) 박사가 원천특허 개발자로, 약물의 반감기를 최대 200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 지속형(long-acting) 기술이다. 이뮤노포지는 이미 안정성이 증명된 ELP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한 신약 프로니글루타이드(Froniglutide)에 대해 임상 2상을 진행중에 있으며, First-in Class 약물인 Pemziviptadil은 미국 FDA에 임상2상 IND 제출을 준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수의 파이프라인에 대해 미국 FDA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미래에셋증권은 지난달 말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개인투자용 국채 8월 발행계획에 따라 8월 12일부터 14일 3일간 9시부터 15시 30분까지 전국 미래에셋증권 영업점 또는 홈페이지, 모바일앱을 통해 국채 청약신청을 받는다고 5일 밝혔다. 기재부가 밝힌 8월 발행예정금액은 10년물 1500억, 20년물 500억 총 2000억으로, 금리(세전)는 10년물 표면금리 3.185%, 가산금리 0.22%로 만기보유 시 3.405%이며, 20년물 표면금리 3.085%, 가산금리 0.42%로 만기보유 시 3.505%이다. 미래에셋증권은 10년물의 경우 만기 수익률(세전)은 약 40%(연 평균 수익률 4.0%), 20년물은 약 99%(연 평균 수익률 5.0%)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개인투자용국채의 경우 만기보유 시 표면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복리이자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번 국채의 경우 이전 두 차례의 발행계획과 달리 가산금리가 10년물 0.22%, 20년물 0.42%로 각각 0.07%p, 0.12%p 상승해 고객들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미래에셋증권은 전망했다. 한편 미래에셋증권에서는 개인투자용 국채 이벤트도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LG유플러스는 고객에게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홈페이지 ‘유플러스닷컴’과 모바일 앱 ‘당신의 U+’ 대상 정보보호 국제 인증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다. 획득한 인증은 정보보호 관리체계(ISO 27001),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O 27701),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ISO 27017), 클라우드상 개인정보 보호(ISO 27018) 등 4종이다. 특히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은 국내 통신업계 최초로 획득했다. 유플러스닷컴과 당신의 U+는 고객이 LG유플러스의 서비스를 만나는 첫 번째 디지털 채널이며, 여러 고객들이 가입‧상품추천‧변경‧해지 등 LG유플러스에 대한 고객여정을 시작하는 중요한 매체다. 이 채널들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고객의 최신 트렌드를 신속하게 반영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고객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와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클라우드상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증을 획득했다. LG유플러스는 DNV로부터 현장 실사를 받아 개인정보처리자, 클라우드서비스 이용자의 관점에서 분류한 정보보호 통제항목이 기준에 부합했음을 인증받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미래에셋증권의 전체 적립금은 26조 6127억 원으로 업계 1위를 기록했다. 또한 DC+IRP 적립금의 경우 전 분기 대비 증가액 1위(1조1528억)를 차지하며, 퇴직연금 전체 시장의 상반기 적립금 증가분의 16.7%를 차지했다. 이는 전체 시장에서 가장 높은 증가액으로, 미래에셋증권은 업계 최초로 적립금 20조원을 돌파하는 성과를 이루었다고 밝혔다. 현재 미래에셋증권은 DC+IRP 퇴직연금 적립금의 경우, 증권사들 가운데 39.1%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업권 최초 DC+IRP 적립금 20조 돌파의 배경에는 미래에셋증권의 차별화된 연금상품 공급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실적배당상품을 가입자들의 성향에 맞게 매칭하여 제시한 것이 적립금 증가에 큰 기여를 했다고 보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로보어드바이저, MP구독, 개인연금랩과 같은 타사와 차별화된 연금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포트폴리오 서비스의 전체 잔고는 대략 2조 5천억원(24년 5월말 기준)이다. 가입자들은 위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글로벌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를 제공받아 편하게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삼성증권은 업계 최초로 30억 원 이상 자산가 고객이 4000명을 돌파했다고 지난 30일 밝혔다. 특히 이들은 해외 주식 가운데 엔비디아,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알파벳 등 미국 우량 성장주를 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증권이 30억 원 이상 초고액자산가 서비스인 SNI를 출범한지 만 14년만에 이룬 성과다. 특히, 2020년 패밀리오피스 서비스 론칭 이후 고객 증가속도가 빨라지며 대한민국 자산관리 시장에서 최초의 기록을 쌓아오고 있다. 삼성증권 30억원 이상 자산가 고객은 지난해 연말 대비 500여명이 증가하면서 6월 말 기준 4041명이며, 고객당 평균 자산은 254억3000만원으로 나타났다. 고객들의 올 상반기 투자 자산을 분석해보면, 해외주식과 채권의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져서, 전체 자산 중에서 비중도 각각 3%포인트, 0.7%포인트 증가했다. 30억원 이상 자산가 고객들이 많이 보유한 자산을 분석한 결과, 해외주식 상위 5개 종목은 엔비디아,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알파벳 등 미국 우량 성장주였으며, 채권투자 상위 종목은 국고01500-5003(20-2), 국고01500-4009(20-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반도체 사업에서만 6조 원을 넘게 벌어들이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31일 2024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인공지능(AI) 시장 확대에 따른 메모리 반도체 수요 회복과 가격 상승 등이 반도체 부문의 실적을 크게 개선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0조4439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462.2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이번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10조2866억 원을 1.5% 상회했다. 삼성전자 분기 영업이익이 10조 원을 넘은 것은 2022년 3분기(10조8520억 원) 이후 7개 분기만이다. 매출은 74조683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44% 증가했다. 분기 매출은 2개 분기 연속 70조 원대를 기록했다. 순이익은 9조8413억원으로 470.97% 늘었다. 2분기 실적을 부문별로 보면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매출 28조5600억 원, 영업이익 6조4500억 원을 기록했다. 메모리는 생성형 AI 서버용 제품의 수요 강세에 힘입어 시장 회복세가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농심 신라면이 올 상반기 국내 시판 중인 라면 제품 가운데 온라인에서 가장 높은 소비자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를 기록했다는 빅데이터 분석 조사 결과가 왔다.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은 전년 동기비 관심도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소비자 호감도 조사에서도 농심 신라면이 조사 브랜드 중 유일하게 70%대 순호감도를 기록하며 1위를 꿰찼다. 30일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는 커뮤니티·블로그·카페·X(옛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1개 채널 22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2024년 1월부터 6월까지 국내 주요 라면 브랜드 10개에 대한 게시물 수(관심도=포스팅 수)를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지난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가 발표한 소매점 라면 매출 상위 순위 10개 제품으로 선정했다. 게시물 순으로 ▲농심 신라면 ▲농심 짜파게티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오뚜기 진라면 ▲농심 육개장 ▲농심 너구리 ▲농심 안성타면 ▲팔도 비빔면 ▲팔도 왕뚜껑 ▲삼양식품 삼양라면 등이다. 조사 키워드는 라면 제품명으로 조사하되 신라면 검색 시 확인되는 ‘신라면세점’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유한양행은 지난 26일 청소년 진로체험 프로그램인 ‘버들과학진로캠프’를 진행했다고 30일 밝혔다. 버들과학진로캠프는 2019년부터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제약바이오 분야 진로체험 프로그램이며, 2023년에는 교육부로부터 관련 성과를 인정받아 ‘교육기부 진로체험인증제’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 프로그램은 진로 탐색 전문 기관인 동작구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는 동작구 관내 동작고, 성남고, 숭의여고 3개 학교가 참여했다. 6월부터 학교별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이번 7월 26일에는 본사 15층에서 학생 총 112명이 참여한 가운데 견학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날 중앙연구소 오세웅 부사장은 “제약바이오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진로탐색 기회를 제공하는 버들과학진로캠프를 개최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이번 캠프가 미래 K-제약바이오를 이끌 청소년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진로 체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지난 6월부터 3회에 걸쳐 실시한 온라인 교육에서는 온라인 연구소 견학, 사회적 가치를 중시한 유일한 박사에 대한 진로특강 및 신약개발과 진로에 관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자사 상장지수펀드(ETF)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투자자들에게 분배금을 지급한다고 30일 밝혔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는 다음 달 2일 첫 분배금을 지급하며, 분배금 지급 기준일(보유 기준)은 이달 31일이다. 이번 첫 분배를 시작으로 연 4회 분기 배당을 실시할 예정이다. 국내 상장된 해외 레버리지 ETF 중 분배금 지급은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ETF’가 처음이다. 통상 레버리지 ETF는 스왑 등 상품 구조로 인해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한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ETF’는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일간수익률 2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다. ▲엔비디아 ▲AMD ▲퀄컴 등 글로벌 주요 비메모리 반도체 기업 30종목으로 구성된 해당 지수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대표한다. 현재 국내에서 미국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TIGER ETF가 유일하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ETF’의 우수한 장기 수익률을 기반으로 이익을 환원하기 위해 분배금 지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KB증권은 29일 자사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과 웹트레이딩시스템(WTS)에 '미국 주식 실시간 소수점 거래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미국주식 실시간 소수점 거래’는 소수점 주식을 온주(1주) 거래와 동일하게 원하는 시간에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로 KB증권 MTS ‘M-able mini(마블미니)’ 및 WTS ‘M-able 와이드’를 통해 가능하다. 앞으로 소수점 주식도 미국주식 정규거래 시간인 오후 10시 30분부터 익일 오전 5시(한국시간 기준)까지 실시간으로 미국주식을 거래를 할 수 있게 되어 시장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기존 미국주식 소수점 거래는 특정 시간에만 거래되어 왔다. 또한, KB증권은 금번 서비스를 오픈하면서 ETF 종목을 대거 추가하는 등 미국주식 소수점 거래 가능 종목도 173개 추가한 614개 종목으로 확대하여 투자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 주문방식 역시 다양해져서 원화는 물론 외화주문, 지정가/체결유리가, 금액(천원/$1부터)/수량 주문을 모두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들은 개인 트레이딩 취향에 맞춰 원하는 소수점 주문을 이용할 수 있다. KB증권은 ‘미국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