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 규제가 풀리면서 은행권이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나서고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가상자산거래소 등과 협업해 법인고객을 대상으로 계좌 개설을 지원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가상자산 수탁사업을 비롯해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에도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와 인터넷 전문은행 케이뱅크 간의 제휴 계약이 오는 10월 종료되면 우리은행이 업비트와 손을 잡으려 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업비트의 사업 파트너로 거론되는 것은 우리은행뿐만이 아니다. 업비트는 2채널 인증에서 하나은행의 하나인증서를 사용하면 햄버거, 커피 등의 경품을 지급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업비트와 하나은행이 공동 이벤트를 시작으로 제휴를 맺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이 가속화되자 은행권이 가상자산 관련 서비스, 인프라 등 비즈니스 확대에 나서고 있다는 평가다.
8년 만에 법인 가상자산 투자 허용
앞서 금융위원회는 제3차 가상자산위원회 회의에서 ‘법인의 가상자산 시장 참여 로드맵’을 발표했다. 우선 올해 상반기 검찰, 국세청 등 법집행기관과 기부·후원을 받는 비영리법인의 매도 거래를 허용하고 하반기에는 상장기업과 전문투자자 등록법인의 매매 거래를 시범 허용하는 등 단계적으로 규제를 완화한다.
이에 따라 상장법인 약 2500곳을 비롯한 자본시장법상 전문투자자로 등록된 법인 약 1000곳 등 3500여 개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금융회사는 이번 가상자산 투자 허용 대상에서 제외돼 비트코인 현물 ETF의 국내 도입도 불발됐다.
국내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가 허용된 것은 2017년 이후 8년 만이다. 당시 정부는 투기 열풍에 따른 시장 과열, 자금 세탁 등을 우려해 긴급행정지도를 통해 법인 계좌를 사실상 제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