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배달의민족(배민)이 모회사 딜리버리히어로(DH)가 개발한 신규 주문 할당 앱 ‘로드러너(RoadRunner)’를 일부 지역에서 시범 도입하자 라이더와 자영업자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이들은 로드러너가 기존 시스템과 달리 등급제를 기반으로 배차를 결정하는 방식을 도입해 배달기사의 통제 강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안전과 수익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과 공정한플랫폼을위한사장협회는 25일 서울 송파구 배민 본사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로드러너 도입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로드러너가 기존 우아한형제들의 자체 개발 앱 ‘배민커넥트’ 대신 적용되고 있다며, 도입 취지와 평가 기준이 명확히 공개되지 않은 점을 문제로 삼았다.
로드러너는 배달의민족 모기업인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가 개발한 AI 기반 배차 시스템으로, 기존 배민커넥트처럼 라이더가 콜을 실시간으로 받아 처리하는 방식과 달리, 다음 주 근무 시간을 미리 예약해야 한다. 시스템은 8단계 등급제를 적용해 등급이 높은 라이더가 선호 시간대를 먼저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됐지만, 등급 산정 기준은 공개되지 않았다.
"가게 노출 제한, 소비자 효용 떨어뜨려"
또한 배차는 라이더가 직접 수락하는 대신, 거리와 등급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한 AI 자동 배정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라이더들은 로드러너가 적용되는 지역에서 배차가 라이더의 등급에 따라 불투명하게 이뤄지고, 이 과정에서 플랫폼이 사실상 라이더의 이동 동선과 대기 위치를 간접적으로 통제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방식이 무리한 주행을 유도해 사고 위험을 키울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자영업자들은 배달 플랫폼이 로드러너 적용과 함께 가게 노출을 임의로 제한하는 사례가 발생한다며, 이는 곧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가게의 범위를 좁혀 소비자 효용을 떨어뜨린다고 주장했다. 특정 가게가 노출에서 제외되면 주문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한편 우아한형제들은 최근 로드러너를 경기도 화성·오산 등 일부 지역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