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8.4℃
  • 맑음서울 5.6℃
  • 맑음대전 4.8℃
  • 연무대구 6.1℃
  • 연무울산 9.1℃
  • 맑음광주 7.0℃
  • 맑음부산 10.3℃
  • 맑음고창 3.1℃
  • 맑음제주 9.4℃
  • 맑음강화 2.6℃
  • 맑음보은 2.1℃
  • 맑음금산 3.1℃
  • 맑음강진군 4.1℃
  • 맑음경주시 5.2℃
  • 맑음거제 7.2℃
기상청 제공

AI platform

KT, 글로벌 투자사 디지털브릿지와 손잡고 AI 데이터센터 구축 가속…아태 지역 수요 선제 대응

URL복사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KT가 글로벌 디지털 인프라 투자기업인 디지털브릿지(DigitalBridge)와 손잡고 국내외 AI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 본격 나선다. 글로벌 AI 서비스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KT는 국제 협력 기반의 대규모 인프라 전략을 통해 국내 AI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KT는 26일 디지털브릿지와 AI 데이터센터 공동 개발 및 해외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디지털브릿지는 미국·유럽·아시아 등 전 세계 주요 시장에서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인프라 투자를 진행하는 글로벌 전문 투자기업으로, AI 데이터센터 관련 투자 규모만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대형 플레이어다.

 

양사는 급증하는 글로벌 AI 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AI 데이터센터 공동 개발 ▲해외 데이터센터 사업 협력 ▲ESG 기반 데이터센터 운영 기술 협력 등 총 3대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한다. 특히 ChatGPT·Gemini 등 초거대 AI의 확산으로 고성능 GPU 기반 데이터센터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수요가 늘고 있는 시장으로 꼽힌다.

 

국내에서는 설계–건설–운영 등 데이터센터 전 과정을 함께 검토해 양사가 보유한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연동하고,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고밀도·고효율 설비를 구축하는 방안이 논의된다. KT는 이미 대규모 IDC 운영 경험과 네트워크 기술을 갖고 있어 디지털브릿지의 글로벌 자본·전문성과 결합할 경우 상당한 시너지가 예상된다.

 

해외에서는 공동 시장 조사를 통해 아태 지역의 신규 AI 데이터센터 후보지를 발굴하고, 디지털브릿지가 추진하는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KT가 참여하는 형태의 협력 모델도 검토한다. 이는 KT의 해외 데이터센터 진출 확대를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ESG 분야 협력도 강화된다. 디지털브릿지는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화·친환경 냉각·재생에너지 적용 등 ESG 기술 경험을 KT에 공유하며, KT는 이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AI 데이터센터 운영 모델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데이터센터 산업에서 ESG 역량은 글로벌 고객 유치와 투자 확보에 중요한 경쟁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협력이 국내 데이터센터 산업이 글로벌 AI 인프라 경쟁 속에서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AI 모델 고도화에 필수적인 고출력 GPU 서버 수요는 앞으로 몇 년간 폭발적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KT와 디지털브릿지의 조기 협력이 시장 선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기획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