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 전 세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성별 격차가 지속되면 AI 학습과 발전 과정에서 성별 편향을 강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렘브란트 코닝 교수와 버클리 하스 경영대학원의 솔레네 델레코트 교수 연구팀은 최근 발표한 논문 ‘젠더 격차와 생성형 AI에 대한 글로벌 증거’(Global Evidence on Gender Gaps and Generative AI)에서 이러한 결과를 밝혔다. 연구진은 전 세계 약 13만3000명이 참여한 기존 18개 학술·실무 연구를 종합 분석했다.
분석 결과, 2022년 11월 챗GPT 출시 이후 2024년 5월까지 월평균 사용자 2억 명 가운데 남성이 58%, 여성은 42%로 나타났다. 다른 생성형 AI 플랫폼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확인됐다. 퍼플렉시티의 여성 사용 비율은 42.4%, 앤스로픽의 클로드는 31.2%였다.
특정 목적 AI 도구 사용에서도 여성 참여 저조
특히 스마트폰 앱 다운로드에서는 성별 격차가 더욱 두드러졌다. 챗GPT 앱을 설치한 여성은 전체의 27.2%에 불과했으며, 클로드와 퍼플렉시티 앱 설치에서도 여성 비중이 낮았다. 코닝 교수는 “미국, 캐나다, 일본 같은 고소득 국가뿐 아니라 인도, 브라질, 케냐 등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동일한 패턴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2022년 8월부터 2025년 7월까지 3821개 특정 목적의 AI 도구 이용자 분석에서도 여성 비율이 34.3%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또한 메타분석 결과, 여성의 생성형 AI 사용 확률은 전반적으로 남성보다 약 20% 낮았다.
일부 여성 참가자들은 AI 사용이 직업적 불이익이나 동료의 의심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코닝 교수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생성형 AI를 사용해야 AI가 모든 사람으로부터 학습해 성별 중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남성이 주된 사용자라면 AI가 성별 편향과 고정관념을 강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진은 AI 교육과 플랫폼 설계 과정에서 여성 참여를 적극적으로 장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