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4일 개막한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과 포털 등 온라인에서는 지난해 도쿄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경기 생중계를 진행한다.
웨이브는 특별관을 열고 베이징 동계올림픽 생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별관에서는 지상파 방송의 올림픽 생중계와 주요 경기 다시보기,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볼 수 있다. 올림픽 선수가 출연한 예능 등 방송 프로그램과 스포츠 영화 및 드라마도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U+모바일tv에서 생중계 및 하이라이트 콘텐츠를 제공한다. 통신사 관계없이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누구나 동계올림픽을 모바일로 시청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U+모바일tv에 ‘베이징 올림픽 특집관’을 신설하고 경기 중계를 시청할 수 있는 실시간 채널을 한데 모아 서비스한다. 이용자는 지상파 4개 채널(KBS1·KBS2·MBC·SBS)에서 중계 편성 시간에 맞춰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더불어 주요 장면을 VOD 클립으로 제공, 실시간 경기를 놓쳐도 하이라이트 부분을 언제든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 스포츠도 동계 올림픽 온라인 중계를 서비스하고 특집 페이지 서비스를 오픈했다. 특집 페이지에서는 베이징 홈, 소식, 일정, 선수 엔드, 메달 현황, 참여형 이벤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생중계를 시청하는 이용자는 라이브톡 기능을 통해 선수들을 실시간 응원할 수 있다.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전원을 소개한 응원 영상 콘텐츠를 준비, 각 선수를 응원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응원 챌린지’와 승부 예측 퀴즈쇼 ‘예측고사’에 참여, 미션을 성공하면 네이버 페이를 지급하는 등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도 준비했다.
아프리카TV도 스포츠 페이지에서 주요 올림픽 경기를 중계하고, 다시보기와 하이라이트 VOD를 제공할 예정이다. 유저들이 참여할 수 있는 시청 인증 이벤트, 대한민국 대표팀 올림픽 최종 순위 및 금메달 획득 개수 맞히기 등 이벤트도 진행한다.
뉴미디어 중심으로 재편된 올림픽 중계
보편적 시청권 둘러싼 논란도
지난해 도쿄올림픽 이후 올림픽 중계가 지상파가 아닌 OTT 등 뉴미디어 중심으로 재편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동 중에도 중계를 시청할 수 있어 편리하고, ‘라이브톡’이나 ‘실시간 채팅’ 기능을 제공해 여러 명이 함께 응원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OTT 입장에서도 스포츠 중계는 플랫폼을 홍보하고 신규 가입자를 확보하는데 매력적인 콘텐츠다.
지난 도쿄 올림픽을 생중계한 웨이브의 경우, 안산 선수가 여자 양궁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따낸 순간 실시간 채널 동시접속자 수가 평시 대비 8배나 치솟았다.
웨이브가 함께 제공했던 스포츠 콘텐츠의 시청량도 급증했다. 양궁선수 김제덕이 출연했던 예능 ‘영재발굴단’의 경우 173%, 드라마 ‘마지막 승부’는 243%, 영화 ‘슈팅걸스’와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은 각각 1001%, 295% 시청량이 늘었다.
네이버의 경우에도 여자배구 터키전 당시 140만 명, 여자 양궁 개인 금메달 결정전 당시 83만 명이 동시 접속했다.
다만 미디어 시장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올림픽‧월드컵 등 국민 관심이 큰 스포츠 경기의 시청권을 보장하는 ‘보편적 시청권’을 둘러싼 논란도 제기된다. 지난 도쿄올림픽에서 OTT 쿠팡플레이가 온라인 단독 중계권을 확보하려다가 무산되면서 논의가 촉발됐다.
현재 보편적시청권 제도는 지상파를 중심으로 방송사만을 대상으로 한다. 이에 OTT를 보편적 시청권 제공 사업자에 포함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방송통신위원회도 OTT 등 뉴미디어를 아우르는 ‘시청각 미디어 서비스법’과 보편적 시청권을 OTT 등으로 확대하는 제도 개선 법안을 연내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노창희 카이스트 경영공학부 겸직교수는 3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보편적 시청권 확대는 법제 개편 속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면서 “다만 방송의 개념, 중계권을 가진 사업자의 입장 등 다양한 요소들이 고려돼야 하기 때문에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중장기적인 미디어 법체계 개편이 이뤄져야 하고, 현재 방통위에서 준비하고 있는 시청각 미디어 서비스 법과 연동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