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본 기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40대 여성으로서 부모와 함께 사는 비혼주의 가장이다. 남들은 ‘영끌’이라고 하면서 주택 구입에 열을 올리는데 그럴 형편이 못되는 소외 계층에 속한다. 주변에 결혼한 신혼부부들은 최근 정부의 부동산대책을 기회로 보는 것 같다. 가지고 있던 집을 팔고 신혼부부 특별공급을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로또 광풍을 빚는 현재의 주택청약제도가 자발적 무주택자를 양산한 셈이다. 이 같은 이들이 점점 증가하면서 전·월세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정작 내집 마련에 목말라 있는 본 기자 같은 무주택자들은 소외를 겪는 일이 생기는 것이다. 치솟는 전세가에 무주택자들은 언제 살고 있던 집에서 쫓겨날 지 두려움에 떨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작년 하반기부터 불안하게 움직이던 전·월세 시장은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가 시행된 지난 8월 이후 더 고삐가 풀린 모습이다.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 괜찮은 주거 환경을 갖춘 아파트의 전셋값은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씩 뛰어 부르는 게 값일 정도다. 아파트에서 시작된 전세난은 다가구 다세대 등 빌라를 거쳐 주거용 오피스텔로까지 번졌고, 하루가 다르게 전세와 월세
[투데이e코노믹 = 우혜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가 일자리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일자리를 잃고 새로 실업급여를 신청하는 사람이 지난달 16만 명이 넘어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한다. 지난해 같은 달(12만5000명)에 비해 적어도 3만5000명이 늘어난 것이다. 이는 코로나19의 실물경제 충격으로 극심한 매출 감소를 겪고 있는 기업들이 인력을 줄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인 셈이다. 산업 전반에 실업대란의 위기에 놓였음에도 정부 대책 시행은 늦어지고 있다. 한번 없어진 일자리는 다시 만들어내기 쉽지 않다. 자영업자나 소상공인들이 가게 문을 닫거나 폐업한다는 것은 가지고 있는 자금을 다 쓰고 더는 견디기 어려울 때 선택하는 최후의 수단이다. 자금도 정신력도 소진해 어쩔 수 없이 사업을 접었다가 다시 시작하는 것은 그만큼 어렵다는 뜻이다. 정부는 이들이 생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 신속한 집행에 집중해야 한다. 또한 도움이 가장 절박한 자영업뿐 아니라 피해 기업들에도 고용유지를 통한 일자리 지키기에 나서야 한다. 그런데도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실업자의 생활안정 대책을 비롯한 사회안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