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현대자동차의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가 사전 계약대수 기록을 갈아치우면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 등 후발주자들의 추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탄소 배출 저감 관련 규제가 국제적으로 이어지면서 전기차로의 변화가 빨라지고 있다. 한국딜로이트는 세계 전기차 판매량이 2020년 250만 대에서 20205년 1120만 대, 2030년 3110만 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5는 사전계약 첫날인 지난 25일 계약 대수가 2만3760대에 달했다. 국내 완성차와 전기차 모델을 통틀어 최단시간 최다 신기록이자 연간 판매목표인 2만6500대에 육박하는 실적이다. 종전 기록은 지난해 8월 기아의 4세대 카니발(2만3006대)이 가지고 있었다. 현대자동차 내부적으로는 지난 2019년 11월 출시한 6세대 그랜저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이 첫날 17만7294대 사전계약 된 것이 최고 기록이었다.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의 사전 계약 대수를 뛰어넘은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아이오닉5는 롱레인지 기본 트림(익스클루시브)이 5200만~5250만 원, 고급 트림(프레스티지)이 5700만~5750만 원(세제…
[투데이e코노믹 = 우혜정 기자] 노후경유차를 소유하고 있는 서울시민 중에 폐차를 생각중이라면 서둘러야 할 것 같다. 배출가스 5등급 경유 차량을 조기 폐차하거나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등의 조치를 취한 차량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노후경유차 저공해사업’이 올해 종료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지난 2003년부터 추진해온 ‘노후경유차 저공해사업’을 올해 마지막으로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기준으로 서울시 등록 배출가스 5등급 경유차량은 2만8060대다. 이에 서울시는 5등급 경유차 소유주를 위한 조기 폐차나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등에 대한 지원금을 받으려면 서두르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올해 이 사업에 949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시가 정한 지원 대상은 5등급 경유차 조기 폐차 1만 대, DPF 부착 1만 대, 미세먼지·질소산화물(PM-NOx) 저감장치 부착 50대, 건설기계 조기 폐차 300대, 건설기계 DPF 부착·엔진교체 1510대, LPG 화물차 전환 지원 1000대 등이다. 시는 조기 폐차 지원금 상한액을 3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높였다. 총중량 3.5t 미만인 배출가스 5등급 노후 경유차량 중 매연저감장
[투데이e코노믹 = 박나영 기자] 도로에서 화물차를 가까이 쫒아 달리는 것은 보기에도 위험해 보인다. 실제로 화물차와 사고 시 위험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운전자들이 각별히 조심해야겠다. 국내에서 운행 중인 화물차 일부가 충돌 사고 시 후방 차량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차량 뒷부분에 설치하는 후부 안전판의 설치 높이 기준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10~12월 보험개발원과 함께 고속도로 화물차 휴게소에 정차한 차량 중 총 중량 7.5t 이상인 화물차 100대를 대상으로 실태 조사를 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이들 차량 가운데 33대는 후부 안전판의 설치 높이 기준(후부 안전판의 가장 아랫부분과 지상과의 간격이 550㎜ 이내)을 위반했다. 이들 차량의 후부 안전판 설치 높이는 570~750㎜ 수준이었다. 충돌 사고 시 차체가 높은 화물차의 뒷면에 있는 적재함이 승용차의 차체를 밀고 들어가 탑승자의 상해 정도가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총 중량 3.5t 이상의 화물차는 후부 안전판을 기준에 맞게 설치해야 한다. 소비자원이 기준치를 웃도는 750㎜ 높이에 후부 안전판을 설치한 화물차의 후방에 승용차를 시속 56㎞로 추돌
[투데이e코노믹 = 박나영 기자] 석면은 가루 형태로 흡입하면 잠복기를 거쳐 석면폐증·폐암·악성중피종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 국가에서 사용금지 물질로 지정됐다. 또한 대표적인 유해 중금속인 납은 신경계 손상 및 두통·복통·청각장애 등을 일으키며 어린이 지능 발달 저하와 식욕부진·빈혈·근육 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RAC)는 납을 인체발암가능물질(Group 2B)로 분류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판매 중인 중국산 오토바이용 브레이크 마찰재(패드) 제품 일부에서 이 같은 위험 물질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오토바이 브레이크 마찰재 30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해물질 함유 여부를 시험한 결과, 1개 제품에서 석면의 일종인 백석면이 나왔다고 최근 밝혔다. 해당 제품은 중국의 ‘CHONG AIK INTERNATIONAL PTE LTD’가 제조한 것으로, 석면 검출량은 마찰재 부분 무게의 3% 정도다. 또 4개 제품에선 자동차 유해물질 허용기준(1,000㎎/㎏)의 최대 1.45배에 달하는 납이 검출됐다. 브레이크 마찰재는 브레이크의 맞닿는 면과 마찰
[투데이e코노믹 = 박나영 기자] 국내에서 렌터카 등록대수가 100만 대를 넘을 정도로 장기·단기 렌터카 시장이 성장하고 있지만 관련 해 소비자 불만도 늘어가고 있다. 특히 단기 렌터카는 소득 증가와 주5일 근무로 인한 여가시간 확대가 수요 증가를 이끌었다. 시공간 제약과 정비나 사고처리에 대한 걱정 없이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는 ‘편리성’이 최대 장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렌터카 이용자 5명 가운데 1명은 차량 운행 중 고장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소비자원이 지난해 7월 7~15일에 최근 1년 이내 단기 렌터카(1개월 미만 대여) 이용자 10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20.1%는 렌터카 운행 중 고장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이들이 경험한 고장 부위(복수 응답)는 와이퍼가 34.8%로 가장 많았고, 라이트(25.4%), 창문 개폐(22.4%), 브레이크(21.9%), 타이어(21.9%) 등이 뒤를 이었다. 대여 전 차체 외관을 직원과 함께 점검하거나, 함께 점검한 후 혼자 재점검한 비율은 76.7%였다. 연료량도 응답자의 73.7%가 같은 방식으로 점검했다. 반면 엔진오일을 이런 방식으로 점검한 경우는 47.4%에 그쳤
[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본격적인 한파가 시작되면서 자동차 고장 사례가 늘고 있다. 소비자들은 배터리 방전 등 겨울철 차량 고장에 유의해야 한다. 겨울철 가장 속을 썩이는 차량 문제는 ‘배터리 방전’이다. 기온이 급격히 하락하면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어 배터리 잔량이 남아있어도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4개 대형 손해보험사(삼성화재, 현대해상,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의 긴급출동횟수는 총 73만391회로 집계됐다. 이 중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 이용량이 45만1897회로 전체의 62%에 달했다. 긴급 견인(구난)이 10만7829회로 2위, 타이어 교체·수리가 9만5802회로 3위에 위치했다. 보험개발원이 2012년~2016년 5개년 동안 월별 자동차사고 특징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긴급출동 서비스는 12월에 이용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월에 배터리 충전을 가장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이 기간 긴급출동 이용건수는 연간 1552만6000건으로, 월 평균 129만4000건 발생했다. 배터리충전이 693만7000건으로 44.7%를 차지하고 긴급견인이 285만7000건으로 18.
[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오프라인 위주였던 중고차 시장이 코로나19 비대면 소비 흐름을 타고 빠르게 온라인으로 변화하고 있다. 중고차는 개별 차랑 마다 상태가 다른 특성이 있어 직접 보고 거래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 왔다. 하지만 중고차 업체가 계약과 차량 점검, 탁송 서비스 등을 제공하면서 온라인에 익숙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홈서비스 이용 비중이 늘어났다. 중고차 업체 AJ셀카는 이달 발표한 ‘2020 내차팔기 연말 결산’ 트렌드 키워드 중 하나를 ‘언택트’로 꼽았다. 2020년 1월부터 11월까지 AJ셀카가 ‘내차 팔기’를 통해 거래한 판매 집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거래량은 지난해 대비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J셀카는 온라인 거래 활성화로 수도권 및 지방 등 공간적 제약과 경게가 허물어지고, 전국 거래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온라인 ‘내차팔기’ 자료에 따르면, 본인 거주지역 외 타 권역에서 중고차가 거래된 비율도 전라도 93%, 충청도 84%, 경상도 82% 순으로 나타났다. 중고차 업체 케이카는 매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PC 및 모바일로 직영중고차를 구매할 수 있는 비대면 온라인 구매 서비스인 ‘내차사기 홈서비스’가 올해…
[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자동차 수리 시 순정부품보다 40% 가량 저렴하고 성능도 동등한 자동차 인증대체부품이 있지만, 소비자 중 절반은 이같은 사실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수리용 부품으로는 자동차제작사의 주문으로 생산되는 OEM부품(순정품)과 정부가 지정한 인증기관에서 성능품질을 검증한 인증대체부품이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15일 아우디 A6와 BMW 3시리즈, 포드 익스플로러, 렉서스 ES,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등 수입자동차의 전방 범퍼 5종을 대상으로 OEM부품과 대체부품 간 성능과 품질을 비교한 결과 주요 성능인 물리적 특성(인장 강도, 충격 강도 등)은 모든 대체 부품이 OEM과 동등한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대체부품과 OEM부품 간 형상일치 여부, 두께 차이 등을 확인한 결과 모든 대체부품이 관련 기준을 충족했다. 또한 외부 충격 등 하중에서 견디는 강도에서도 모든 대체부품이 OEM부품과 동등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성능적인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 대체부품의 가격은 OEM부품 가격의 약 59~65% 수준에 머물렀다. 시험대상 대체부품인 수입 자동차 전방 범퍼의 구입가격은 OEM부품의 59% 수준이었다. 그러나 소비자
[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국내 완성차 5개사가 지난달까지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국내에서 50만대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완성차 5개사의 실적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국내에서 팔린 SUV 차량은 모두 50만5061대다. 작년 같은 기간 56만1179대보다 9.5% 상승한 수치다. 국내 완성차 업체의 전체 승용차 판매량 115만6837대 중 SUV가 차지하는 비중은 43.7%로, 작년 43.9%와 비슷했다. 레저용 차량(RV)은 55만2521대가 판매돼 전체 자동차 판매에서 작년 대비 7.3% 증가한 47.8%를 차지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의 SUV는 올해 상반기 30만대 이상 판매된 이후 하반기에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차박(차에서 숙박)’이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실용적인 SUV를 찾는 소비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문회체육관광부는 코로나19 발생 전후 약 1년간(2019년 7월~2020년 8월)의 일상생활 관련 SNS 게시물 약 1400만 건을 분석한 결과, ‘차박’ 언급량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223%나 급증했다고 13일 밝힌 바 있다. 자가용을 이용한 ‘근교 드라이브’ 언급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전세계적으로 여성 엔지니어의 수와 역할이 증대됨에 따라 기업에서 여성 엔지니어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 내 여전히 보이지 않는 유리 천장(glass ceiling)이 존재하며, GM은 이러한 장벽을 허물고 여성 엔지니어들이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에서 근무 중인 GM의 여성 엔지니어들이 국내 업계 최초로 여성 엔지니어들의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글로벌 여성 사회 단체 SWE(Society of Women Engineers)에 가입하며, 엔지니어링 분야의 리더십 역량 강화에 나섰다. SWE는 1950년 미국에서 설립된 글로벌 사회 단체로, 전세계 62개국 4만2천명 이상의 여성 엔지니어들이 구성원으로 활동하며, 글로벌 여성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컨설팅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6일, 부평 본사에서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 로베르토 렘펠(Roberto Rempel) 사장, 브라이언 맥머레이(Brian McMurray) 부사장 등 임원진과 여성 엔지니어들이 참석한 가운데 SWE의 멤버로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위한 발족식을 가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