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KCA에 양자내성암호 기반 보안 체계 구축…공공분야 실증사업 본격화

  • 등록 2025.05.20 16:20:43
크게보기

투데이e코노믹 = 유서진 기자 | LG유플러스가 양자컴퓨터 시대를 대비한 차세대 보안 기술 '양자내성암호(PQC)'를 공공기관 시스템에 본격 적용하며, 국내 양자 보안 시장 선도에 나선다.

 

LG유플러스는 20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의 주요 시스템에 PQC 기반 보안 체계를 구축하는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KCA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하고 있다.

 

양자내성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 PQC)는 격자 기반 문제, 다변수 다항식 문제 등 양자컴퓨터로도 해독이 어려운 수학적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개발된 차세대 암호 기술로, 기존 RSA·ECC 암호체계의 양자컴퓨터 취약성을 극복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KCA의 주요 업무 시스템인 ▲가상사설망(VPN),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VDI), ▲디지털 시험장(CBT) 등의 보안 인프라에 PQC 암호 모듈을 적용하고, 실제 업무 환경에서의 성능 및 적용 가능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특히 모바일·윈도 기반 VPN 구간, 인증 서버, 보안 데이터베이스(DB) 등 핵심 시스템에 PQC 알고리즘을 연동해 연내 실증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적용 대상에는 KCA가 운영하는 국가자격검정시험 관리 시스템, ICT 비R&D 기금사업 정보관리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실증에서 미국 NIST(국립표준기술연구소)와 국내 양자내성암호연구단(KpqC)이 각각 선정한 암호 알고리즘을 시스템 환경에 맞춰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도입했다. 이로써 각 시스템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PQC 알고리즘을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했다.

 

회사 측은 이 같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향후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금융, 공공 인프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PQC 보안체계를 확산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LG유플러스는 2020년 국내 최초로 PQC 기반 전용회선 및 Q-ROADM(양자 내성 광전송 장비)을 상용화한 바 있으며, 2024년 1월에는 통합 계정관리 솔루션 ‘알파키’를 출시하는 등 양자 보안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또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공동으로 제안한 PQC 전송망 표준안이 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2024년 우수 TTA표준’으로 선정되며 업계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주엄개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 상무는 “이번 실증사업은 단순한 기술 적용을 넘어, 국가 보안 인프라를 양자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과정”이라며 “고객과 사회 모두에게 차별화된 보안 가치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유서진 기자 ysj2323@todayeconomic.com
Copyright @2020 투데이e코노믹 Corp. All rights reserved.




제호 : 투데이e코노믹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 385, 8층 804-27호(마곡동, 우성에스비타워) 등록번호 : 서울,아52937 | 등록일/발행일 : 2020년 3월 9일 | 발행인/편집인 : 박재형 | 전화번호 : 010-2491-8008 | 운영사 : JH미디어 | 전화번호 : 070-4045-5491 Copyright ©2020 투데이e코노믹. All rights reserved. 「열린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l 우혜진 070-4045-5491 l wh5222@todayeconomi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