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e코노믹 = 박재형 기자 |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자사의 'TIGER' 상장지수펀드(ETF) 가운데 미국 대표지수 관련 상품 2종이 동종 펀드 대비 가장 낮은 실부담비용을 기록했다고 20일 발표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TIGER 미국S&P500'의 실부담비용은 0.1265%, 'TIGER 나스닥100'은 0.1531%로 집계되며, 이는 동일 유형의 국내 상장 ETF 중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실부담비용은 총보수에 더해 펀드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비용과 매매·중개 수수료 등을 포함한 금액으로,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전체 비용을 의미한다.
ETF는 장기 투자할수록 비용이 누적되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특히 연금계좌를 통해 투자하는 경우 실부담비용이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될 수 있다.
한편, 낮은 실부담비용을 바탕으로 해당 ETF들은 2월 동종 펀드 대비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2월부터 국내 상장된 미국 대표지수 ETF는 모두 분배금 자동 재투자가 적용되지 않는 프라이스리턴(PR)형으로 통일된 상태다.
미국 증시가 조정 국면을 겪으며 모든 ETF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가운데, 2월 말 기준 'TIGER 미국S&P500'의 1개월 수익률은 -2.647%, 'TIGER 미국나스닥100'은 -3.697%로 나타나며, 국내 상장된 동일 유형 상품 중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대표는 "TIGER ETF는 투자자들의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보수를 인하해 왔으며, 그 효과가 실부담비용 절감과 펀드 수익률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타 비용 및 거래 비용을 줄여, 투자자들이 S&P500과 나스닥100 ETF에 최소한의 비용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