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e코노믹 = 이지혜 기자] 지난해 암호화폐 스캠 범죄 피해액이 총 77억 달러(약 9조 2176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81% 증가한 수치다.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기업 체이널리시스는 25일 ‘2022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스캠이란 투자금을 유치한 뒤 파산하거나 잠적하는 사기행위를 말한다.
2021년 전체 스캠 피해액 중 37%(28억 달러, 한화 약 3조 3518억 원)는 ‘러그풀(Rug Pull)’ 수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러그풀이란 개발자가 자금을 모집해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중도 포기해 토큰 가치를 떨어뜨리는 방식이다.
체이널리시스는 러그풀이 탈중앙화금융(DeFi) 생태계에서 볼 수 있는 유형이라고 설명했다. 또 쉽게 새로운 토큰을 만들어 탈중앙화 거래소에 상장할 수 있는 구조가 이러한 상황을 만든다고 분석했다.
체이널리시스는 스캠 수가 증가할수록 스캠의 평균 활동 기간도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스캠을 수사하고 기소하는 조사관의 역량이 발전함에 따라 스캠 범죄자들이 압박을 받았기 때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금을 수신한 스캠 수는 2020년 2052개에서 2021년 3300개로 크게 증가한 반면, 같은 시기 평균 활동 기간은 192일에서 70일로 짧아졌다.
백용기 체이널리시스 한국 지사장은 "국내에서 '진도지코인'과 '스퀴드코인'으로 대표되는 러그풀 스캠이 전체 스캠 피해 중 3분의 1가량으로 밝혀졌다"며 "암호화폐 투자자는 해당 암호화폐의 정보를 면밀히 살피고 제3자의 감사를 받았는지, 개발자 신원이 명확하게 공개됐는지, 개발자가 지나치게 많은 물량을 갖고 있는지 등을 꼭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 본 기사는 보도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됐습니다.